안녕하세요. 저희 보드에 시계를 얹으려고 노력중에 귀사 사이트를 찾게 되었습니다.
아까 저희 직원이 크리스탈을 사러 가서 홈페이지에 글을 올리면 도움을 받을수 있다하여 몇가지 문의 드립니다.
현재 ds1302 칩에 s561이라써있는 크리스탈을 연결해 테스트를 해보는데 값을 읽거나 쓰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시간이 시간당 한3초 정도 늦어져서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회로 연결은 인터넷에 있는 ds1302연결 회로대로 구성하였습니다.
어느부분을 어떻게 해줘야 늦어지는 현상을 없앨수 있는지 꼭 좀 조언 부탁드립니다.
---------------------------------------------------------------------------------
1.서론당사에서 구매하신 제품의 CL값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그러나 현재 나타난 현상으로봐서 IC designer가 제안한 6[pF]을 적용한것으로 사료됩니다.만약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12.5[pF]인 시료를 적용했다면 시간은 빨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IC designer가 제안한 주요 spec.
ⓐNominal Frequency : 32.768[KHz]
ⓑFrequency Tolerance : ±20[ppm]
ⓒLoad Capacitance : 6[pF]
ⓓ E.S.R : 45[KΩ] max
ⓔ Shunt Capa. : 1.1[pF] typ/1.8[pF]maxⓕ Drive Level : 1[uW] max
3.의견
1) "2항"과 같은 spec.인 제품을 적용했는데 시간이 늦어졌다면 Stray Capacitance에서 IC designer 가 적용한 값보다 큰것으로 사료됩니다.
따라서 나머지 spec.은 동일하고 CL만 9[pF]또는12.5[pF]인 시료를 적용후 평가바랍니다.
2) 정도가 높은 RTC IC는 C-array로 시간을 조정하게 되어있는데 DS1302에는 CL1/CL2가 fix되어 있는 것으로 서술되어있어 freq. tolerance(±20ppm)만큼 경과 시간에 따른 오차가 발생될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주변 온도가 25℃보다 높거나 낮아도 시간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3) 따라서 시계용으로 조건을 설정할때는 1년간 평균 온도를 산출해서 setting은 항상 산출된 조건 만큼 빠르게 설정해야 됩니다.
4) 가변콘덴서를 외부에 적용해서 임의로 주파수를 조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CL값이 높아지면 소비전력이 커지는것으로 IC designer가 설명하고 있어 이런 조건을 감안한 회로 구성이 필요합니다.
5) 오차에 대한 해결에 문제가 있을 경우 당사에 관련 내용(set등)을 보내주시면 평가후 의견을 제안 드리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