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발진기에대해 자세히알고싶습니다.수정발진기중에서 크리스탈을 이용한 직렬공진회로..
병렬공진회로.. 직렬중에서도 (Tr,OpAmp) 병렬중에서도(pice b-c 콜피츠회로, pice B-E 하틀리회로,OpAmp 이용한 콜피츠발진회로)대충이렇게 알고있는데...
수정발진기란 대체무엇이며 회로마다 어떻게 동작되어지는지? 또 각각회로마다 파형이 어떻게나오는지도 궁금합니다.
!)Q가 10^3 ~ 10^6 정도 매우높다 무슨말인지모르겠습니다.
!!)유도성 영역이매우좁다...???
!!!) 주파수안정도가 10^-5 ~ 10^-8 정도로매우 안정 ???등등 정말 초보자가 알기쉽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합니다..
말로 설명하시기 어려우시면 잘 나와있는 홈폐이지 주소라제발제발 꼭 옥 쯤 알려주세요..
---------------------------------------------------------------------------------
1. 발진회로에는 정현파 발진회로와 이상발진회로로 구분하며, 정현파 발진회로는 LC 발진회로(동조형 반결합, Clapp,Hartley,Colpitts)와 수정발진회로(Pierce,수정발진기) 및 RC발진회로(이상형 병렬,win-Bridge)로 구분됩니다.
2.발진회로는 주기적으로 전압이나 전류가 변하는 신호를 들어내기 위한것으로 증폭회로의 출력을 입력측으로 궤환하여 외부의 입력없이 전기진동을 발생시켜서 교류 파형을 얻습니다.
3. 수정발진기는 통신용 송.수신기,표준형 측정기기등의 정밀도가 높은것을 요구하는 발진회로에 적용됩니다.
▶ Pierce-BE형Hartley 발진회로를 응용한 회로입니다.
▶ Pierce-BC형Colpitts 발진회로를 응용한 회로입니다.
4. 수정진동자의 Q가 10^3 ~ 10^6 정도로 매우 높다는 의미는 수정진동자를 전기적 신호로 역변환 시켰을때 나타나는 parameter값으로 알수있습니다.
즉 Q=ωL/R=1/ωRC이며, 3.579545MHz의 Q는 평균170,000이고, 3rd 57MHz는 110,000의 평균값을 가지고있어 LC 발진회로의 100보다는 공진의 선택도가 월등히 우수함을 알수 있습니다.
5. 주파수의 물리적 안정도가 10^(-5) ~ 10^(-8)정도라는의미는 25℃에서 freq.tolerance 가 수정진동자의 경우 ±30×10^(-6)(±30ppm)인데 Ceramic Resonator는±30×10^(-4)(±5000ppm)이며,-20℃~+80℃에서 freq. stability는 수정진동자의 경우 ±50×10^(-6)(±50ppm)인데 Ceramic Resonator는 ±30×10^(-4)(±3000ppm)으로 수정진동자의 안정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것을 알수있습니다.
6. 수정진동자의 유도성 영역수정진동자의 등가회로는 직렬 arm에 L1,C1,R1과 병렬 arm인 Co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공진주파수는 L1,C1에 의해 구성되는 직렬공진 주파수와 L1,C1,Co(또는 외부에 부가된 CL이 있으나여기서는 CL은 제외시킴니다.)에 의해 구성되는 병렬공진 주파수로 구분됩니다.
▶직렬공진 주파수 fo=1/(2π(√(L1×C1)))
▶병렬공진 주파수 f∞=fo(1+(Co/2C1))
▶유도성 영역 B=f∞-fo로 다른 device로 구성된 발진회로의 bandwidth 보다 월등히 작습니다.또한 B=fo/Q 관계에서 Q가 크면 유도성 영역인 B가 매우 좁아지고, 주파수 변동도 작아진다는것을 의미합니다.
pa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