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 capacitance (CL) 정의와 설명법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오옴)
Shunt Capacititance (CO)
경시 변화의 특성 Aging
발진방식 fund 3rd
구동레벨 ..
이상 윗글에 정의와 영업사원의 적합한 표현 법좀 갈쳐 주세요...
염치없지만 도와주세요 꾸벅 Somebody everybody help me!!!!!!!!!!!!
---------------------------------------------------------------------------------
1.CL(Load Capacitance)부하용량은 수정발진 회로에서 수정진동자가 포함된 폐루프의 합성리액턴스를 의미합니다. 리액턴스가 용량성이면 공진 주파수가 pulling되고, 유도성이면 push됩니다.
즉 수정진동자의 자기 발진주파수는 주변 합성 리액턴스에 의해 변하는데 이값이 용량성일때를 Load capacitance 라고 합니다. 원하는 요구주파수를 얻기 위해서는 수정진동자의 주변합성 리액턴스값과 이조건에 맞는 수정진동자를 적용해야 됩니다.
2. ESR수정진동자 자체가 가지고있는 마찰저항 또는 음향손실을 series resistance라고 합니다.즉 수정진동자를 공진시킬때 감쇄진동을 유발시키는 요소로 보면 됩니다. 따라서 발진회로가 지속진동을 하기 위해서는 반도체가 포화영역일때 Rr<|-Rρ|반도체가 동작영역일때는 Rr≤|-Rρ|의 등식이 성립되어야 합니다.
▶Rr: 수정진동자의 등가 저항
▶|-Rρ|:발진회로의 상호콘덕턴스,전류값 등에 의해결정되는 값
3. Shunt Capacitance (Co)수정진동자는 절연특성이 뛰어난 물질입니다. 이물질에 전극을 현성시키고 전하를 인가하면 콘덴서와 같은 역활도 합니다. 즉 기계적 진동을 하는 요소에 병렬로 capacitance값이 존재해 이를 shunt capacitance로 부르고 있습니다.
직접적으로 주파수를 결정하는 요소라고 할수없으나 주요 parameter를 결정 factor이므로 간접적인 영향을주는 요소로 볼수 있습니다. 또한 Co인 shunt capacitance는 부차진동,용량비,안정도 pullability등과 관계가 있으므로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4.경시변화(aging)시간이 지나면 수정진동자의 주파수가 변할수 있습니다. 이 변화하는 정도를 spec.으로 규정한것이 aging 또는 경시변화 항목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running시 주파수가 변화하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한가지 예를들면 SiO2와 Ag는 서로 다른 물질이며 친화성도 한계가 있습니다.즉 SiO2에 Ag입자를 형성시킬때 Ag입자끼리는 친화성이증착 초기에는 불완전 결합을 하고 있지만 온도를 인가하면 완전 결합에 가깝게 반응을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기발진 주파수가 다소 변화를 일으킬수 있습니다.
5.Fund. & 3rdAT cut인 수정진동자는 기수차 채배 발진을 합니다. 따라서 기본파를 적용하는 회로에 수정진동자를 적용하면 fundamental 발진을 하게 되며, 기본파를 shunt시키고 3고조파를 발진시키는 회로에 적용하면 3rd발진회로가 됩니다. 단. fund.,3rd에 적용되는 수정진동자는 절단각도, 가공방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주의 적용이 필요합니다.
6. 구동레벨발진회로는 TR ,FET등과 결합해서 공진 신호를 만들어냅니다. 이 과정에서 수정진동자에 인가되는 여진레벨을 구동레벨 이라고도 합니다. 즉 이상적인 Drive Level은 반도체가 포화영역에서 동작영역으로 전개될때 수정진동자에 인가되는 모든 power값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조건을 감안해서 수정진동자를 검사할때 RLD,DLD검사를 하게 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