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크리스탈에 관해서 궁굼한점이 있습니다
먼저 질문(Q&A)한 내용과 답변을 읽어보니 조금은 도움이 되었으나 아직도 좀 제가 부족한게 많아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꼭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1. AT-CUT&BT-CUT Z축으로 절단시 35˚15'방향과 -49˚20'방향의 차이가 BLANK생산시 어떤점의 차이가나는지 궁금합니다
2. FUND&3RD 다지 기수차신호인 30MHz이하는 FUND, 이상은 3RD, 50MHz는 5th 진동편에서의 차이만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기수차신호" 무엇인지 궁굼합니다.
3. 18pF, 12pF, SER...CL값의 차이는 무엇인지 궁굼합니다
4. CI값이란 무엇인지 궁굼합니다. 꼭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
blank라는 용어는 수정진동자를 제조하는 일에 관여하지 않고는 쉽게 표현하기 어려운 단어 입니다. 답변은 최대한 간략화 하겠습니다.
1.AT cut와 BT cut의 blank 생산시 차이점.
1) 35˚15'인 AT-cut로 30[MHz] blank를 생산할 경우 진동편의 최종 가공두께는 약0.0557mm입니다.
2) -49˚20'인 BT-cut로 30[MHz] blank를 생산할 경우 진동편의 최종 가공두께는약0.0853mm입니다.
2. 진동 modethickness shear mode를 갖는 진동편은 energy 포획 형태에 따라 기본파, 3고조파, 5고조파,7고조파등의 기수차(홀수 배수) 채배 진동세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들면)10[MHz]의 자기발진 세력을 가진 진동편이 있다면 기본파(fundamental)는 10MHz이며, 3고조파(3rd)는 30[MHz]이고, 5고조파(5th)는 50[MHz]입니다.
3. CL(LOAD CAPACITANCE)수정진동자를 이용한 발진회로를 구성했을때 수정진동자 주변의 합성용량을 CL이라고 합니다.수정진동자를 중심으로한 loop에서 reactance값이 용량성이면 그값(12pF,18pF등)에따라 parallelresonance(load resonance)를 하고, 유도성이면 series resonance (series)를 한다고 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약속된 용어입니다.
4. C.ICrystal Impedance를 줄여서 C.I라고합니다. 진동체에서의 음향손실,기계적으로는 마찰저항,전자적으로는 저항을 의미합니다.수정진동자는 물리적,기계적,전기적 해석이 필요함으로 상황에 따라 부르는 표현은 다르나 같은 의미에 해당됩니다.
단. impedance를 real값(E.S.R)으로 표기하는것은 공진(resonance)을 의미한 값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